Study!/Network

[CISCO Packet Tracer 기초] Static Routing 실습!

해태봉 2021. 11. 22. 18:38

저번 글에 이어서 이번엔 Static Routing (정적 라우팅) 을 해보려 합니다.

Router Interface 설정을 통해 Network들은 전부 연결이 되어있습니다. 그러나 PC0에서 Router1로 Ping통신을 해보면 

이렇게 Reqest timed out 이라는 ICMP Error Message가 돌아옵니다. 왜 그럴까요? Packet Tracer의 Simulation을 통해 하나하나 살펴보겠습니다.

Router0번까지 정상적으로 전송
Router1번에서 버려짐

보시면 Router0번인 Gateway까지 PC0번의 Ping ICMP Message가 정상적으로 전송되었습니다. 그리고 Serial Port로 연결되어 있는 Router0는 ICMP Header에 존재하는 D.address를 읽고 Fowarding 하여 전송하였습니다. 이제 남은 순번으로는 Router1번이 ICMP Message를 읽고 Reply Message를 전달해 주면됩니다. 

 

ICMP Header에는 S.Address (Source) 가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그를 토대로 보내 주면 되는데 왜 보내지 못할까요?

이때 사용되는 것이 바로 Routing Table 입니다. Router는 주소를 읽고 보낼때 Routing Table을 참조하여 경로를 찾고 전송하게 됩니다. Router1의 Table을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Routing Table

  Routing Table을 확인 할 수 있는 명령어는 " Show ip route " 입니다. 상단에 있는 Codes는 Table에 저장되어 있는 Data의 Type을나타내 줍니다. 그리고 아래 보시면 "C 2.2.2.0/24 is directly connected, serial0/0" 이 보이시나요? 이는 바로 "C = connected (연결되었다) , 2.2.2.0/24 네트워크에 , directly (직접적으로 (물리적) , serial0/0 을 통해서 " 라는 뜻 입니다.  현재 R1이 Serial을 통해 연결되어있는건 2.2.2.0 Network입니다. 그런데 이는 Router끼리를 구성해 주는 WAN Topology의 IP 주소고 PC0 의 IP는 1.1.1.0 대에 존재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R1 입장에서는 저런 네트워크가 존재하는지도 모르고 경로를 모르니깐 Reply를 해줄 수 없는 겁니다.

 

이때 사용 하는 것이 Routing(경로 학습) 입니다. Dynamic(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고, Static(정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데 우리는 여기서 Static routing을 해보겠습니다.

Static Routing을 하기 위해선

[ 목적지 IP address, 목적지 IP Subnet Mask,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는 경로 IP or interface ] 가 필수적인 요소 입니다. 바로 명령어를 실행해 보겠습니다.

 

Static Routing Result

 Configure terminal 모드에서 입력해야 합니다.

" ip route 1.1.1.0(D.add) 255.255.255.0(subnet) 2.2.2.1 (serial0/0 ip add)" 를 통해서 다시 Routing table을 확인해보면 " S 1.0.0.0 [1/0] via 2.2.2.1" 이 생겨났을텐데 정상적으로 경로학습을 시켜준 겁니다.  이렇게 직접 Serial0/0의 IP address를 입력해도 되고, 혹은 IP자리에 "serial0/0"을 입력해도 동일하게 동작합니다.

(단, 여기서 serial0/0은 R0의 Serial0/0을 가리키는 것이 아닌, 자신(R1)의 Serial0/0을 의미합니다. 자신의 0/0 Port를 통해 내보내면 도착할 수 있다고 경로 설정을 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이제 PC를 통해 R1에 통신을 하면 Reply를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하고 마무리 하겠습니다,

 

정상적으로 통신이 가능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