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Network
네트워크 1일차
해태봉
2021. 11. 18. 00:41
Networking Fundamentals - Cisco
를 기반으로 요약된 것을 공부하며 따로 요약한 내용입니다.
Part1 Networking Fundamentals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디바이스를 두대이상 연결해놓은 상태
= 네트워크
LAN 근거리 통신망
= 사무실, 개인네트워크 환경
WAN
ISP(Internet Service Provider)업체에서 관리함
라우터 사용
느림 T1(북미표준) E1(유럽표준) 연결 일반적
그물망 네트워크로 전세계가 연결된 것 = 인터넷
사용자들 = IPv4 사용 (네트워크 끝단)
라우터 등 장비들 = IPv6 사용
실질적인 통신을 진행하는것 = TCP/IP Model 기반
1계층 하드웨어 (물리)
2계층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데이터링크)
3계층 인터넷 (네트워크)
4계층 전송 (전송)
5계층 세션
6계층 표현
7계층 응용
헤더 = 각 계층의 정보를 담고 있음.
Ex. L4H = 4계층(전송) UDP, TCP의 정보 등
2계층 = 헤더와 더불어 오류검출을 위한 블록을 결합
상위계층 장비는 하위계층 장비 헤더 분석 가능
응용 Application 계층
> 실제 사용자가 사용하는 프로그램 계층
> E-mail, DNS, DHCP, WEB, 응용프로그램 등
> Ex. 택배를 보내는 행위
4계층 전송(Transport)
> 통신하고자 하는 대상에게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포장과정
> TCP/UDP가 있으며, 서로다른 특성을 갖는다.
> Ex. 택배 포장
3계층 네트워크 (Network)
> 통신하고자 하는 대상의 주소를 적는 과정
> 3계층 대표적인 주소체계로는 IP 주소가 있다.
> 3계층 까지가 실직적인 사용자에 의해 결정이 된다.
> Ex. 택배받을 주소 적기
2계층 데이터링크 (Data link), 1계층 물리 (Physical)
> 실질적인 Network 인프라 환경
> Data Link : 전송방식을 결정
- Ex : 배, 트럭, 비행기
> Physical : 실제 데이터가 전달되는 매개체
- Ex : 도로, 항로 (케이블)
Bandwidth (대역폭)
> 한번에 지나다닐수 있는 데이터의 양
DCE -> 클럭을 제공하는 장비
DTE -> 클럭을 받는 장비
> 클럭은 네트워크 엔지니어가 수동으로 잡아야함.
[핀배열의 역할이 같은 장비의 묶음]
> A그룹 : 라우터, PC, 서버
> B그룹 : 스위치, 허브, 브릿지, 공유기
> 라우터 - 스위치 : Direct Cable
> 서로다른 장비 : Direct Calbe, 같은장비 : Cross Cable
* 커플러 사용시 Cross + Cross = Direct , Cross + Direct = Cross
* Auto MDIX : 핀배열의 역할을 상황에 맞추어 동작시키는 기술
[1계층 장비]
> 허브, 리피터
> 허브 : 주로 여러대의 디바이스를 하나로 모으는 용도
> 리피터 : 감쇠된 신호를 증폭해주는 장비
> 허브로 묶인 영역은 "Collision Domain" (충돌 도메인)
- 충돌 도메인을 막기 위해선 허브가 아닌 스위치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