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새요 이번엔 내부 Network를 벗어나서 외부 Network로 가는 Router를 서로 연결해보려 합니다.
일단 Network Topolgy 는 이렇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지금까지는 내부 Network에서 Router에 접속하고 내부에서 통신, 원격 접속 하는 등의 방법들만을 다뤘는데, 결국 Network는 내부에서 벗어나서 연결되어야 우리가 흔히 쓰는 Internet으로 연결됩니다. 그럼 내부 Network와 다른 Network를 이어주는 역할은 누가 하느냐? 바로 Router입니다. 이론에서 배웠다시피 End Device인 우리가 사용하는 일반적인 PC는 사설 IP를 사용하다가 Internet과 통신해야 할 때 Gateway를 통해서 공인IP를 부여받고 외부와 통신 하게 됩니다. (NAT) 여기서 Gateway가 바로 라우터인데요, 그전에 잠시 DTE와 DCE에 대해서 살짝 알아보겠습니다. (필요하니깐요!)
DTE와 DCE
- DTE 는 Data Terminal Equipment의 약자입니다. 사용자측에서 (PC,Router) 데이터 발신 장치나 수신, 겸용으로 사용되는 장치입니다. DTE는 반드시 DCE장치를 통해 연결되며 DCE에 생성된 클럭 처리 신호를 사용합니다.
- DCE는 Data Communication Equipment, 혹은 Data Circuit-terminating Equipment 의 약자입니다. 통신 네트워크 장비의 물리적인 연결 수단으로, 트래픽을 전송하고, 전송을 동기화시키는데 사용되는 클럭 신호를 제공합니다. 모뎀과 인터페이스 카드등이 있습니다. (Router끼리의 연결이면 Router 두 대중 한대는 DCE or DTE로 설정해야합니다.)
즉, DCE를 통해서 Clock Rate를 조정하고, 각 Router끼리의 부호변환, 신호변화를 해주는 역할입니다.
그럼 위의 첫번째 예제로 다시 돌아가면 현재 Router0번은 내부 Network의 Gateway가 되는 것이고 Router1번은 외부로 연결하기 위한 장치가 됩니다. 그 중 저는 Router0번을 DCE로 Router1번은 DTE로 설정하여 진행해보았습니다.
바로 테스트 해보기 전에 각 Device별로 Configure를 지정해볼까요
NAME | IPv4 Address | Subnet Mask | Default Gateway |
PC0 | 1.1.1.100 | 255.255.255.0 | 1.1.1.1 |
Router0 (R0) | 1.1.1.1 | 255.255.255.0 | |
Router1 (R1) | Direct Connect X | ||
R0 Serial0/0 | 2.2.2.1 | 255.255.255.0 | |
R1 Serial0/0 | 2.2.2.2 | 255.255.255.0 |
일단 우리가 바로 이전에 Interface 설정한 내용에서 살펴본건 요렇게 IP Address, Subnet Mask, Default Gateway 이렇게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번엔 조금 다른 설정이 몇개 더 존재합니다. 앞서 사용한 Cable은 Direct로 Connect 되어있는 Ethernet 기반의 연결이었지만 요번엔 Router에 Module을 추가해 연결한 Serial Port! 거기다 앞서 설명한 DCE, DTE설정과도 깊은 연관이 있으니 꼭 자세히 보고 갑시다.
앗! Packet Tracer에서 Serial Port를 추가하는 법을 설명하는걸 깜빡했네요. Router를 누르시고 Physical 부분을 보셔야해요. Router의 전원을 먼저 끄고! WIC-2T Module을 Drag & Drop 해주신 후 다시 전원을 켜주시면 됩니다. WIC-2T는 WAN 을 사용 할 수 있는 2개의 Serial port를 가진 Interface에요. 저희는 일단 저 Module을 계속 사용할 거에요 :)
다시, Serial Port에서 설정해야하는 중요 3가지 내용을 잠시 살펴봅시다.
> encapsulation {hdlc(표준,기본값), ppp}
- hdlc : 표준, 기본값 , Cisco사와 다른 장비들은 호환이 어려움.
- ppp : 호환성 우수, 보안성 우수, 다양한 정보 함께 제공
- R0 , R1 encapsulation 방식이 동일한지 확인
- Encapsulation 방식이 다르면 Protocol 상태 Down
> bandwidth
- E1표준(2548), 북미(1544)
- 자동으로 할당되는 Bandwidth값은 북미(1544)이다.
- 연결되는 라우터끼리의 값은 일치해야한다.
> clock rate
- 앞서 설명한 DCE에서 Data의 Clock을 조절하기 위한 수치
- bandwidth 2548 + 000(자릿수) = 2548000
- 위와 가장 근사한 값을 찾아서 설정해야한다.
이렇게 3가지를 연결된 DCE, DTE가 동일하게 되어야 정상적으로 통신할 수 있습니다.! 그럼 바로 설정해보도록 합니다.
Interface serial0/0 명령어를 입력해 serial 설정으로 진입합니다.
Serial Interface에서 도움말을 입력한 모습입니다. 여기서 아까 우리가 설정해야하는 부분, IP Address, Subnet, Bandwidth, encapsulation , clock을 설정해 보겠습니다.
R0(config-if)#ip address 2.2.2.1 255.255.255.0
R0(config-if)#bandwidth 2048
R0(config-if)#encapsulation ppp
R0(config-if)#clock rate 2000000
Default값이 아니라 변경하는 연습을 위해 임의로 변경하였습니다 :)
설정이 완료되셨으면 관리자 모드로 돌악가서 show running-config 명령어로 설정되었는지 확인합니다.
정상적으로 설정되었네요! 그럼 이제 DTE 부분인 R1에도 똑같이 설정하겠습니다.
R1(config-if)#ip address 2.2.2.2 255.255.255.0
R1(config-if)#bandwidth 2048
R1(config-if)#encapsulation ppp
여기서는 Clock rate를 설정하지 않았는데요, 이유는 위에서 봤다시피 Clock rate를 제공하고 설정하는건 오직 DCE에서만 가능해요. R1 Router같은 경우엔 DTE장비니깐 설정이 불가능합니다! 마지막으로 Router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를 통해 정상적으로 연결이 되었는지 확인합니다.
물리적으로, 환경설정에 의해서도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장비가 활성화 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Down이신 분들은 interface 설정 부분 다시 가셔서 no shutdown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항상! 연결 상태를 확인할 때에는 이 명령어를 통해서 확인하면 됩니다.
다음에는 이 Network Topolgy를 토대로 Static Routing하여 외부 Network랑 연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지금은 PC0번이 ICMP Message를 보내도 응답받지 못할거에요....)
'Study!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 Network 기초 ] Subnet Mask 요약 필기 (0) | 2021.11.24 |
---|---|
[CISCO Packet Tracer 기초] Static Routing 실습! (0) | 2021.11.22 |
네트워크 이론 요약 2 (0) | 2021.11.19 |
[CISCO Packet Tracer 기초] 기본 내부 네트워크 연결, 설정 (0) | 2021.11.19 |
CISCO Router Telnet, SSH 기본 설정 (0) | 2021.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