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CISCO Packet Tracer와 CISCO 교안 Cisco Device and IOS Basic를 공부한 내용을 토대로 작성하였습니다.
LAN 환경에 있는 내부 네트워크를 시각적으로 직접 보기위해서 가상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Packet Tracer를 통해 구성해보고 세팅해보겠습니다.
네트워크망 설계에 구성된 장비들은 기본적으로
Router : 2621XM , Switch : 2960 , PC : Generic 으로 사용하여 구성하였습니다.
이론을 공부하신분들은 아시겠지만 각 계층마다 장비들이 존재하고 장비들은 Direct Cable로 연결해 주어야 통신이 가능합니다.
기본 구성을 End Device PC 2대와 이를 연결해주는 Switch 한대, Gateway 역할을 해주는 Router 한대 이렇게 Network Topology를 구성하였습니다.
▶ 라우터 3계층 ( Network Layer ) ◀▶ Switch 2계층 ( Datalink Layer ) ◀▶ PC 응용 계층 ( Application Layer ) ◀
- 모두 Direct Cable로 연결하겠습니다 !
자, 일단 기본적이고 가장 보기 쉬운 내부 Network Topology가 하나 생겼습니다. 우리가 이곳에서 아주 기본적으로 Setting 해야할 Device는 End Device(PC)와 Router 입니다. 일단 임의로 각 PC별 IP와 Subnet, Gateway를 설정해보죠
NAME | IP Address | SubnetMask | Default Gateway |
Router0 (R0) | 192.168.30.254 | 255.255.255.0 | |
PC0 | 192.168.30.1 | 255.255.255.0 | 192.168.30.254 |
PC1 | 192.168.30.2 | 255.255.255.0 | 192.168.30.254 |
이렇게 임의로 Setting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응용계층에 있는 PC는 GUI가 지원되기 때문에 손쉽게 IP Setting을 할 수있습니다.
PC의 설정이 끝나면 Router를 설정하겠습니다.
Router를 누르면 모듈을 추가하고 확인할 수 있는 Physical 부분과 Config 부분, CLI 부분이 있습니다. Config에서 하면 정말 쉽지만, 이는 CISCO Packet Tracer에서 제공하는 편의 기능이기 때문에 우리는 IOS를 이용하여 설정해보겠습니다!
CLI 를 처음 접속하시면 "Continue with configuration dialog ? [yes/no] : " 가 나오는데 이는 장치 설정 마법사를 실행할 것인지 묻는 창입니다. 기본적으로 No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 NVRAM에 저장된 Startup-configuration이 없기 때문에 나타나는 창 입니다. )
우리가 라우터에서 설정할 내용은 IP Address와 SubnetMask 입니다.
처음 Router에 접속하면 " Router> " 이런식으로 프롬프트 창이 보여지는데 이는 기본 실행 모드인 "User Mode" 로 접속이 됩니다. 명령어를 입력하는데에 있어서 제한이 있습니다. 그럼 제한을 풀기위해서는 어떤 모드로 진입해야 하는가 하면 바로 "Privileged Mode" 관리자 모드입니다. IOS가 제공하는 다른 구성모드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이 실행모드가 기본이 됩니다. 바로 진입해볼까요?
Router> enable
Router#
관리자 모드로 진입시 ">" 에서 "#"으로 Prompt가 변경됩니다. 여기서 이제 다양한 configuration 옵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이제부터 설정을 해야합니다. 설정을 하는 "전체 설정 모드"는 configure terminal 로 접속할 수 있습니다.
Router#conf t
Router(config)#
이와같이 또 모드가 변경되게 됩니다. (중복되는 약어(앞까지 동일)가 아닌 명령어들은 이런식으로 생략해서 써도 괜찮습니다. 혹은 약어를 써놓고 "?" 를 쓰면 Help를 통해 실행할 수 있는 명령어와 TAB를 누르면 자동완성 기능이 있습니다.)
이제 전체 설정 모드까지 진입했으니 바로 IP 설정이 가능한가? 하면 불가능합니다. 현재 Router와 Switch가 연결되어 있는 부분은 FastEthernet port로 Cable(물리적) 연결이 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Router는 그러한 Port 하나 하나 설정해 줄 필요가 있습니다. ( 현재는 1:1 Connect 이지만 Module 등을 통해 라우터에 수많은 연결이 가능하기에 각자 다 따로 설정해야 합니다.! ) 그럼 FastEthernet을 설정하는 모드로 진입해봅시다!
- 자신이 설정한 Port 가 헷갈린다면 Option - Preferences - Always Show port labels 설정하시면 보기 편합니다.
Router(config)#interface fastEthernet 0/0
Router(config-if)#
이렇게 Interface 설정 모드로 진입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 한번 누르면 Interface모드에서 사용 가능한 명령어들이 쭈욱 나열되는데 여기서 몇가지만 간단하게 보고 바로 넘어가겠습니다!
#speed ?
> FastEthernet의 속도를 강제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 10Mbps, 100Mbps 등이 있습니다.
> 기본값 = auto로 설정되어있습니다.
> 각 장비마다 성능과 여러 요인들이 다르기 때문에
Auto로 설정되어 동작하고 있다고만 생각하면 됩니다.
#duplex ?
> 대역폭의 반이중 전이중 설정입니다
> 위와 마찬가지로 Auto로 설정되어 동작합니다.
#shutdown
> Interface의 활성화를 담당합니다. 켜는데에도 이명령어가 필요합니다.
#ip
> Interface의 IP를 설정하는 중요 설정 커맨드입니다.
이말고도 많은 명령들이 있는데 일단 주요 설정은 IP 와 no, shutdown으로 진행합니다.
위에서 제시한 IP Address와 SubnetMask를 토대로 라우터의 기본 설정을 진행합니다.
Router(config-if)#ip address 192.168.30.254 255.255.255.
/IPv4 Address /SubnetMask
Router(config-if)#no shutdown
이 두가지 명령어만 정확히 입력해주면 Router 에 IP 주소를 입력하고 활성화 시킬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Router에 별칭을 지어 구분하기 편하게 해보도록 합니다.
Router(config-if)#exit
Router(config)#hostname R0
R0(config)#
exit 명령어를 통해서 상위 모드로 진입하고 hostname 명령어를 통해서 Router0번의 별칭을 R0로 설정해주었습니다. 이로써 통신을 위해 기본적으로 꼭 설정해야하는 것들을 알아보았습니다.
- exit 와 다른 end 명령어를 사용하게 되면 바로 관리자 모드로 진입하게 됩니다.
관리자 모드에서 " show ip interface brief " 명령어를 통해 물리적(Status)와 논리적(Protocol)연결 상태를 진달할 수 있습니다! 여러 작업을 하면서 통신에 오류가 생기면 꼭!!!!! 이 명령어를 통해 확인먼저 하도록 합시다!!
PC에서 Gateway(Router)로 ping 명령어를 통해서 정상적으로 통신이 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Network Configuration 기본 마치겠습니다.
'Study!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CISCO Packet Tracer 기초] Static Routing 실습! (0) | 2021.11.22 |
---|---|
[CISCO Packet Tracer 기초] Router 끼리 Connect 해보자! (0) | 2021.11.19 |
네트워크 이론 요약 2 (0) | 2021.11.19 |
CISCO Router Telnet, SSH 기본 설정 (0) | 2021.11.18 |
네트워크 1일차 (0) | 2021.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