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Network 기초 ] Link-State 와 OSPF

    [ Link State ] - 인접한 Router끼리 정보 교환을 합니다. - 각 Router마다 Network에 대한 Topology를 그립니다. - 위의 Topology는 Topology Database에 저장합니다. - T.DB 를 바탕으로 SPF Algorithm을 통해 최적의 경로를 찾아냅니다. - 그렇게 만들어진 최적경로는 Routing Table에 저장됩니다. - Link = Router Interface , State = Interface와 Neighbor 연결 관계 [ Link-State Routing Protocol 장점 ] Fast Convergence Topology의 변화에 빠른 반응을 수행합니다. Routing Loop Topology를 이해하므로 SFP 알고리즘에서 Routin..

    [CISCO Packet Tracer 기초] Static Routing 으로 Network Topology 구성해보기

    요번엔 위와 같은 Network Topology를 Static Routing을 통해 전부 통신할 수 있도록 Network를 구성해 보겠습니다. 일단 각 Device별로 Setting 해야 할 목록들입니다. :) Device Interface IP Address Subnet Mask Default Gateway Router1 (R1) Fa0/0 N/A Serial0/0 N/A Router0 (R0) Fa0/0 N/A Serial0/0 N/A Serial0/1 200.165.201.2 255.255.255.252 N/A Router2 (R2) Fa0/0 200.165.200.225 255.255.255.224 N/A Serial0/1 200.165.201.1 255.255.255.252 N/A PC0 NIC..

    [ Network 기초 ] Subnet Mask 요약 필기

    네트워크관리사와 Networking Fundamentals - Cisco 를 기반으로 요약한 내용입니다. [ Subneting ] > 하나의 Network를 여러개 Subnet으로 분할 하는 것을 말한다. > SubnetMask를 변경하여 하나의 Network를 여러개의 Network로 분할 한다. > Subnetmask를 이요하여 해당 IP의 Net-ID와 Host-ID를 구분할 수 있다. > SubnetMask의 BIt값이 "1"일 경우 Network-ID를 의미한다. > SUbnetMask의 Bit값이 "0일" 경우 Host-ID를 의미한다. [ Subneting을 하는 이유 ] 1. 효율적인 IP 주소의 사용 > IPv4의 부족현상을 최소화 하기위한 기초수단 > Class 형식의 Network를 ..

    [CISCO Packet Tracer 기초] Static Routing 실습!

    저번 글에 이어서 이번엔 Static Routing (정적 라우팅) 을 해보려 합니다. Router Interface 설정을 통해 Network들은 전부 연결이 되어있습니다. 그러나 PC0에서 Router1로 Ping통신을 해보면 이렇게 Reqest timed out 이라는 ICMP Error Message가 돌아옵니다. 왜 그럴까요? Packet Tracer의 Simulation을 통해 하나하나 살펴보겠습니다. 보시면 Router0번인 Gateway까지 PC0번의 Ping ICMP Message가 정상적으로 전송되었습니다. 그리고 Serial Port로 연결되어 있는 Router0는 ICMP Header에 존재하는 D.address를 읽고 Fowarding 하여 전송하였습니다. 이제 남은 순번으로는 R..

    [CISCO Packet Tracer 기초] Router 끼리 Connect 해보자!

    안녕하새요 이번엔 내부 Network를 벗어나서 외부 Network로 가는 Router를 서로 연결해보려 합니다. 일단 Network Topolgy 는 이렇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지금까지는 내부 Network에서 Router에 접속하고 내부에서 통신, 원격 접속 하는 등의 방법들만을 다뤘는데, 결국 Network는 내부에서 벗어나서 연결되어야 우리가 흔히 쓰는 Internet으로 연결됩니다. 그럼 내부 Network와 다른 Network를 이어주는 역할은 누가 하느냐? 바로 Router입니다. 이론에서 배웠다시피 End Device인 우리가 사용하는 일반적인 PC는 사설 IP를 사용하다가 Internet과 통신해야 할 때 Gateway를 통해서 공인IP를 부여받고 외부와 통신 하게 됩니다. (NAT) 여..

    네트워크 이론 요약 2

    Networking Fundamentals - Cisco와 네트워크 관리사2급을 기반으로 공부하고 필기한 내용입니다. [Data Link Layer] 데이터 링크 2계층 > Frame 형태의 Data 전송 > 물리적 주소 MAC Address를 이용하여 연결 된 디바이스들을 구분 할 수 있다. > 데이터 충돌방지를 위한 매체 접근 제어 기술을 사용한다. > 2계층 데이터 단위 > Frame > 2계층은 내부통신(LAN)과 연관있다. [LAN 전송중 Protocol의 종류] 1. Ethernet - 제록스, 인텔, DIX사에서 공동으로 개발한 LAN 전송용 프로토콜 - 초기 Ethernet 속도 : 10Mbps 속도 - FastEthernet(100Mbps) -> GigabitEthernet(1000Mbp..

    [CISCO Packet Tracer 기초] 기본 내부 네트워크 연결, 설정

    이 글은 CISCO Packet Tracer와 CISCO 교안 Cisco Device and IOS Basic를 공부한 내용을 토대로 작성하였습니다. LAN 환경에 있는 내부 네트워크를 시각적으로 직접 보기위해서 가상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Packet Tracer를 통해 구성해보고 세팅해보겠습니다. 네트워크망 설계에 구성된 장비들은 기본적으로 Router : 2621XM , Switch : 2960 , PC : Generic 으로 사용하여 구성하였습니다. 이론을 공부하신분들은 아시겠지만 각 계층마다 장비들이 존재하고 장비들은 Direct Cable로 연결해 주어야 통신이 가능합니다. 기본 구성을 End Device PC 2대와 이를 연결해주는 Switch 한대, Gateway 역할을 해주는 Router..

    CISCO Router Telnet, SSH 기본 설정

    CISCO Packet Tracer를 통한 간단한 예제이다. End Device인 Persenol Computer는 스위치를 통해 데이터를 Gateway로 전송하여 외부 네트워크랑 통신한다. 여기서 Gateway는 라우터가 되며 실세계에선 ISP가 그 업무를 담당해 준다. 이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할 때 PC와 라우터의 통신을 PING 명령어를 통해 알아볼 수 있다. 그럼 PC에서 라우터에 원격 연결을 하는 Telnet과 SSH을 설정하는 법에 대해 간략히 공부해보자. 각 PC와 Router에 IP와 SubnetMask, Default Gateway 를 보기 편하게 설정한 결과이다. 이를 기반으로 PC 0번은 SSH으로 PC 1번은 Telnet으로 접속해보자. 일단 Telnet을 위한 설정을 하려한다. R..